공부하자!/경제기사 도쿠감
-
전세대출 금리에 차라리 월세, 적금 이자 5%, 엔더믹 희비갈리는 오프닝주공부하자!/경제기사 도쿠감 2022. 6. 3. 09:51
-높은 금리에 전세보다 월세인 이유 이 기사를 보고 알았음 전세 보증금을 물론 본인이 가지고 있는 돈으로 모두 충당할 수 있으면 전세를 사는게 당연히 이익이다. 하지만 그런 사람이 많지가 않음 높은 전세 보증금일 경우 위 기사의 예시처럼 4억 상당의 보증금을 갑자기 부담하기가 힘드니 당연히 대출을 생각함. 그런데 요즘 전세 대출 금리가 3프로 후반 4프로 라고 치면 4억의 4프로는 1600만원정도. 12로 나누면 100만원이 넘는다. 이 100만원이 넘는 돈을 매달 부담하는게 쉽지 않을 것임. -우리나라도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중 금리도 치솟고 있음. 그로 인한 전세 대출 이자가 더 많은 경우가 발생 앞으로 기준금리가 상승해 시중금리가 올라갈 여지가 큰 만큼 대출금리가 상승하면 대출 이자가 월세보다 많아지..
-
연준 ‘경기 둔화시키는 수준까지 금리 인상’공부하자!/경제기사 도쿠감 2022. 6. 1. 12:21
-인플레이션이란? 경기가 좋아지면 재화 수요가 커진다. 수요가 계속 커지다 보면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가면 재화의 물가가 오른다. 이처럼 재화 전반에 걸쳐 물가가 계속 오르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. -인플레이션이 생기면 금리 인상하는 이유 중앙 은행이 시중 금리를 올리면 은행을 상대로 한 자금 거래에서 대출금리 수준을 올린다. 그러면 은행도 대출 거래 금리를 올리게 되는데, 그러면 일반인이나 기업을 상대로 한 대출 수요가 줄어들고, 시중으로 흘러들어가는 통화량이 줄어들게 된다.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줄이는 정책을 써 시중의 통화량을 줄인다 통화량 감축이 물가 하락 통화량이 감축되면 기업의 투자 억제, 소비자의 구매 저하로 시장이 축소 -> 물가 하락. 근데 궁금한게 미국은 지금 경기가 좋아서 물가가..